인공와우란?
인공와우는 무엇이며 어떤 원리로 소리를 듣게 되나요?인공와우란?
인공와우는 무엇이며 어떤 원리로 소리를 듣게 되나요?
1. 인공와우란 무엇인가?
인체의 측두골(귀 뒤쪽의 뼈)에는 내이라고 하는 기관이 있습니다. 내이는 와우(달팽이관), 전정, 반고리관으로 구성되며, 이 중 와우가 청각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. 와우는 외부의 소리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청신경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.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와우의 기능이 나빠지면 난청이 발생하는데, 난청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청기로 소리를 잘 들을 수 있지만 난청이 심한 경우에는 보청기로도 소리를 잘 들을 수 없습니다. 이러한 경우 와우의 기능을 대신하는 인공와우(cochlear implant, 인공내이, 인공달팽이관)를 측두골 속에 이식하여 와우의 기능을 대신하게 할 수 있습니다.
인공와우는 외부의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청신경을 직접 자극함으로써 소리를 감지하게 해 주는 장치입니다. 일반적으로 보청기로 충분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고도 이상의 감각신경성난청을 가진 환자에게 인공와우를 이식하게 됩니다.
다채널 인공와우이식은 1978년 호주에서 처음 시행되었고 국내에서는 1988년 최초로 시행되었습니다. 동아대학교병원 난청클리닉/인공와우센터에서는 1993년 1월에 부산 경남 지역 최초로 첫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고, 2016년 6월 인공와우이식 1000례를 시술하였습니다.


2. 인공와우의 작동 원리
인공와우는 내부기기와 외부기기(어음처리기)로 구성됩니다. 내부기기는 수술을 통해 환자의 측두골 속에 이식하는 장치로 수용자극기(receiver/stimulator)와 전극(electrode array)으로 구성됩니다. 외부기기는 외부의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이식되어 있는 내부기기로 전달해 주는 장치입니다. 수술을 통해 내부기기를 측두골 속에 이식하고, 약 3~4주가 경과한 후에 외부기기를 착용하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.